[그래픽뉴스] 합계출산율 꼴찌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.81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 회원국 가운데서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합계출산율,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죠.<br /><br />이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0.81명으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2019년 기준 0.92명으로 OECD 국가 중 꼴찌였는데, 그보다 수치가 더 떨어진 겁니다.<br /><br />2019년 기준 OECD 회원국 평균 합계출산율은 1.61명으로 우리나라는 평균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나라가 됐습니다.<br /><br />합계출산율 추이를 보면 2018년 0.98명으로 1명 아래를 기록한 뒤 2019년 0.92명, 2021년 0.81명으로 계속 내리막을 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, 올해 합계출산율은 0.73명으로 0.7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.<br /><br />출생아 수 역시 하락세입니다.<br /><br />2017년 30만 명대로 떨어진 뒤 이후 3년 만에 20만명 대로 진입했는데요.<br /><br />지난해 태어난 출생아 수는 26만 500명으로 통계작성을 시작한 197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합계출산율을 시도별로 보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 1.28명, 전남이 1.02명으로 두 지역만 1명을 넘겼고 서울은 0.63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통계청은 합계출산율이 2030년까지 1명대를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합계출산율, 왜 이렇게 낮을까요?<br /><br />통계청은 주 출산 연령대인 30대 여성 인구가 지난해 9만 명 가까이 줄고, 혼인 건수도 2만 1천 건이나 감소한 것을<br />주된 원인으로 꼽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코로나19 사태 장기화가 혼인 건수 감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한편, 고령화의 영향으로 지난해 사망자 수는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이대로 출생아 수는 줄어들고, 사망자 수가 늘어나면 추세가 지속된다면 50년 뒤엔 인구가 3,700만명대로 쪼그라들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경제와 사회구조가 뿌리부터 흔들릴 것이란 경고음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